뿌리깊은 전통으로 여러분들의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드리겠습니다.
건설현장의 기계설비분야의 기술향상을 통한 건설사업의 원활한 수행을 위하여 기계설비 에 관한 공학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기계설비의 설계, 견적, 제작, 시공, 감리와 관련 된 직무를 수행할 수 있는 전문인력의 양성이 요구됨
기계재료의 특성하고, 설계, 가공방식에 관한 지식을 활용하여 건설플랜트의 기계설비 를 설계하고 견적, 제작, 시공, 감리 등과 관련된 업무 수행. 또는 이와 관련한 지도 적 기능업무를 담당.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
② 관련학과 : 전문대학 및 대학의 산업기계공학, 기계설계공학, 기관공학, 기계 관련학과
③ 훈련기관 : 생산기술연구원 부설 기술교육센타의 자동화설계과, 치공구설계과, 중소기업진흥공단 중소기업연수원의 자동화 및 정밀기계 과정.
④ 시험과목
- 필기 1. 기계제작법 2. 재료역학 3. 기계설계 및 기계재료 4. 유압기기 및 건설기계일반
- 실기 : 건설기계설계
⑤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 : 복합형[필답형(2시간) + 작업형(5시간정도)]
⑥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이상, 전과목 평균 60점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이상
- 필답형 : 출제기준 참조
- 작업형 : 기계설비에 관한 지식을 활용하여 건설기계 및 건설 플랜트 기계설비 공사와 관련된 설비에 대한 설계도를 작성하고 설계 조건에 맞는 계산 및 CAD S/W를 사용하여 CAD 도면을 출력하는 등의 직무 능력을 평가
※ 실기 시험 변경 내용
2012년 부터 제도용 데이터북은 지참, 열람할 수 없으며 실기시험시 제공됩니다.
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
최근 건설기계는 대형화, 다기능화, 전자기술을 이용한 고성능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건설공사에 더욱 적극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렇지만 아직 국내 건설기계 생산기술 은 엔진, 유압장치 등 주요 핵심부품에 있어 선진국에 비해 크게 뒤쳐져있다. 이에 따 라 건설기계의 기술향상을 통한 건설사업의 원활한 수행을 위하여 기계에 관한 공학적 인 이론을 바탕으로 건설현장의 플랜트 기계설비의 설계, 제작, 견적, 시공, 감리 등과 관련된 직무를 수행할 전문인력의 양성이 요구됨.
기계분야의 기술지식이나 기계재료의 특성, 설계, 가공방식에 관한 지식을 활용하여 건설플랜트의 기계설비를 설계, 견적, 제작, 시공, 감리 등과 기능인력에 대한 기술지도, 감독 등의 업무를 수행.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
② 관련학과 : 대학의 산업기계공학, 기계설계공학, 기관공학 외 기계분야 학과
③ 시험과목
- 필기 1. 재료역학 2. 기계열역학 3. 기계유체역학 4. 유체기계 및 유압기기 5. 건설기계일반 및 플랜트배관
- 실기 : 건설기계설계 실무
④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 : 복합형[필답형(2시간) + 작업형(5시간 정도)]
⑤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이상, 전과목 평균 60점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이상
- 필답형 : 출제기준 참조
- 작업형 : 기계설비에 관한 지식을 활용하여 건설기계 및 건설 플랜트 기계설비 공사와 관련된 설비에 대한 설계도를 작성하고 설계 조건에 맞는 계산 및 CAD S/W를 사용하여 CAD 도면을 출력하는 능력을 평가
※ 실기 시험 변경 내용
2012년 부터 제도용 데이터북은 지참, 열람할 수 없으며 실기시험시 제공됩니다.
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
국내 건설기계 생산기술은 범용부품의 경우 선진국 수준에 근접하고 있으나, 엔진, 유 압장치 등 주요 핵심부품은 낙후된 상태에 머물러 있다. 특히 시스템 디자인, 인간공 학 설계기술, 전자제어기술 등은 크게 뒤쳐져 있다. 이에 따라 건설기계의 기술향상 을 위하여 기계에 관한 공학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건설기계와 관련한 공정, 기술과 관 련된 직무를 수행할 전문적 지식과 풍부한 실무경험을 갖춘 기술인을 배출하기 위해 자 격을 제정.
건설기계 분야에 관한 고도의 전문지식과 실무경험에 입각한 계획, 연구, 설계, 분 석, 시험, 운영, 시공, 평가 또는 이에 관한 지도, 감리 등의 기술업무를 수행.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
② 관련학과 : 대학의 산업기계공학, 기계설계공학, 기관공학 외 기계분야 학과
③ 시험과목 - 토목기계, 포장기계, 준설선, 건설플랜트기계설비 및 기타 건설기계에 관한 사항
구분 | 검정방법 |
---|---|
필기 | 단답형 및 주관식 논술형(매교시당 100분 총 400분) |
면접 | 면접 : 구술형 면접시험(30분 정도) |
합격기준 | 100점을 만점에 60점 이상 |
- 건설기계와 관련된 전문지식 및 응용능력 - 기술사로서 지도감리·경영관리능력, 자질 및 품위 등
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